지역예술인들을 통한 문화예술 활성화로 문화특별시를 꿈꾸자 고형재 |부천미술협회장 지난 정권의 무책임한 국정운영 중 문화예술계를 편으로 갈라 소위 ‘블랙리스트’라는 검열의 만연함이 있었다. 이것은 문화예술의… 2017-07-07
축제의 가치를 빛나게 할 룰 김기석 |부천문화재단 정책기획팀장 얼마 전 스페인 유소년 축구리그에서 25:0으로 승리한 팀의 코치가 해임이 됐다는 기사가 화제가 된 적이 있다. 이유인즉 너… 2017-06-28
지역문화재단 역할의 재구성 손경년 |부천문화재단 대표이사 직무대행 - 공감․호감․연민 그리고 시적 삶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정책을 꿈꾸며1)지그문트 바우만은 『고독을 잃어버린 시간』에서 현대세계… 2017-05-29
장애와 예술, 그리고 특별한 사건 김인규 |작가, 現 서천고등학교 미술교사 내가 발달장애 아동들과 미술활동을 시작한 것은 2011년쯤이니 올해로 7년차에 접어드는 셈이고, 이제 그 아이들도 성인에 … 2017-05-02
다시, 광화문 광장에 서서 정윤수 |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교수 도시사회학자 피터 홀이 비판적으로 살핀 바와 같이 언제나 “ ‘현대도시’의 중심은 중산층을 위한 장소”였다. 한국 사회에서 그… 2017-04-24
도시재생, 지역협치, 그리고 시민주체 형성에 대하여 이원재 | 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소장 도시재생은 이미 한국 사회에서도 오래된 화두다. 2000년대 초, 한국에서 도시재생의 유행이 시작될 때 가장 많이 소개된 해… 2017-03-13
문화예술후원 활성화 조례 제정의 필요 채경진 | 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 정책연구팀장 문화융성 국정 기조에 따른 ‘문화가 있는 날’의 정착, ‘문화재정 2%’ 목표 등은 국가적 차원에서의 문화적 가치를 전면으로… 2017-02-28
웰다잉이라는 문화변동 김평수 | 문화콘텐츠학 박사, 한국외국어대학교 겸임교수 웰다잉 문화의 정착을 위한 공공기관의 과제인간이 태어나면 반드시 죽는다. 아무리 위대한 인물도 결국은 한 시대를 살다가 죽은… 2017-02-21
문화도시의 의미 제언 조광호 |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21세기 현재 기존의 국가경쟁 구도를 넘어 도시경쟁 차원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, 각 도시 고유의 문화는 문화적인 도시 경쟁… 2017-01-31
심곡연가(宴歌) 류성효 | 플랜비문화예술협동조합 이사 심곡천이 복개된 지 30년 만에 다시금 모습을 드러낸다. 2011년에 환경부 지원사업으로 시작된 부천의 심곡복개천 생태하천 … 2017-01-17
시민문화권리 지표 설계를 위한 몇 가지 쟁점 부천문화재단 정책기획팀 ‘문화가 있는 날’이 법적으로 지정 및 운영되기로 했다. 불과 한 달 전의 일이다. 그동안 권고사항이었던 ‘문화가 있는 날’의… 2016-11-28
2017년 문화예산안에 관한 소고 채경진 | 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 박근혜 정부에서는 이전 정부와는 달리 문화를 국정에 전면으로 내세움으로써 정부 정책에 있어서 문화적 접근을 중시하고 있다. 특… 2016-11-07
문화, 고령화 사회를 읽는 또 하나의 지도(地圖) 유 경 | 사회복지사, 어르신사랑연구모임 대표 저는 거의 하루도 빼놓지 않고 노인복지관과 경로당, 노인대학에서 어르신들을 만나고 있는 프리랜서 사회복지사입니다. 얼마 전 … 2016-10-22
삶은 찰나의 것! 고영직 | 문학평론가 19세기 영국 소설가 찰스 디킨스의 장편소설 『어려운 시절』(1853)에는 공리주의자 그래드그라인드 씨가 등장한다. 그는 자신… 2016-10-04
시민의 만화도시, 그 여정의 길목에서 한상정 | 인천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 부천시는 분명 한국을 대표하는 만화도시이다. 전국 최초로 시 문화국 내 ‘만화애니과’를 만들었고, 전문적인 만화 창작자와 만화… 2016-09-03
문화영향평가와 문화특별시 부천 손경년 | 부천문화재단 문화예술본부장 2003년 참여정부 출범 시절, 문화 분야의 전략 제안 내용에 문화영향평가의 제도적 도입이 있었다. 당시 문화영향평가는 문화… 2016-08-18